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출산율 계산법 어떻게 했길래 한국 출산율 0.6 어쩌나

치타뉴스

by 치타소식 2024. 6. 9. 20:11

본문

반응형

출산율 계산법을 먼저 이해해야 한국 출산율이 0.6임의 심각성을 알수 있습니다.

출산율은 인구통계학에서 중요한 지표이죠.

다양한 출산율 지표는 각기 다른 측면에서 출산력을 평가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조출생률, 일반출산율, 합계출산율, 연령별출산율의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산율 계산법 조출생률

출산율 계산법
유튜브

조출생률(Crude Birth Rate, CBR)은 가장 기본적인 출산율 지표입니다.

한 해 동안 태어난 신생아 수를 같은 해의 총인구수로 나누고, 그 값을 1,000으로 곱해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연간 10만 명의 출생아가 있고 총인구가 1,000만 명이라면, 조출생률은 10이 됩니다.

이 지표는 간단하지만, 인구구조의 영향을 많이 받는 데이터입니다. 

 

일반 출산율 계산법

일반출산율(General Fertility Rate, GFR)은 가임기 여성 인구를 기준으로 출산율을 계산합니다.

가임기 여성은 15세에서 49세 사이의 여성으로 정의되며,

연간 출생아 수를 이 연령대의 여성 인구로 나눈 후,

그 값을 1,000으로 곱해 구합니다.

 

이 지표는 출산 가능한 여성의 비율을 반영하므로,

조출생률보다 인구구조의 영향을 덜 받습니다.

출산율 계산법
유튜브

연령별 출산율 계산법

연령별출산율(Age-Specific Fertility Rate, ASFR)은 특정 연령대의 출산율을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30세 여성의 출산율을 구하려면 해당 연령대 여성의 출생아 수를 같은 연령대 여성 인구로 나누고, 1,000으로 곱합니다.

이렇게 계산된 각 연령대의 출산율을 모두 합하면 합계출산율을 구할 수 있습니다.

 

합계출산율 계산법

합계출산율(Total Fertility Rate, TFR)은 한 여성이 가임기간 동안 평균적으로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 수를 나타냅니다.

연령별출산율을 모두 더해 계산합니다.

15세부터 49세까지의 연령대에서 연령별출산율이 각각 0.1, 0.15, 0.2, ..., 0.1이라면,

합계출산율은 이 모든 값을 더한 2.1이 됩니다.

 

출산율 0.6

합계출산율은 출산력 수준을 비교할 때 주로 사용되며,

인구 유지를 위해서는 2.1 이상의 값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서울 출산율은 0.6입니다. 

출산율 지표의 국제 비교 유엔인구기금(UNFPA)의 보고서에 따르면,

2009년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1.22로 세계 평균인 2.54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습니다.

 

조사 대상 186개국 중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1.21명)에 이어 두 번째로 낮은 출산율을 기록했습니다.

같은 해 세계 총인구는 68억 2,940만 명,

중국은 13억 4,580만 명으로 가장 인구가 많은 국가로 나타났습니다.

우리나라는 4,830만 명으로 세계 26위를 기록했습니다.

 

출산율 저하의 의미 출산율 저하는 인구구조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출산율이 낮아지면,

인구 고령화와 인구 감소가 발생하며, 이는 경제와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출산율 계산법
유튜브

우리나라와 같은 저출산 국가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출산율을 높이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과제입니다.

출산율 지표는 인구구조와 사회적 변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조출생률, 일반출산율, 연령별출산율, 합계출산율 각각의 계산법과 의미를 파악함으로써,

우리는 인구 통계학적 현상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합계출산율은 출산력 수준을 비교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