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24학년도 성균관대 입시 수시모집 면접문제,답변가이드,다운로드

치타 대학가기

by 치타소식 2024. 3. 8. 19:21

본문

반응형

2024학년도 성균관대학교의 입시에 수시모집 모의면접 문제입니다. 

성균관대학교를 목표로 공부하는 수험생들은 입학전형을 참고해서 도움받으시길 바랍니다. 

 

 

1. 면접 문제

[수학 ] 구술시간 3분

<제시문1>

점들의 집합이다.

집합 S는 좌표평면 위의 점 P(a,6) 중에서 a와 6의 값이 모두 정수이며 1≤|al , 16| ≤4인

<제시문2>

타원 22+2g= 8 외부의 한점 P를 지나는 타원의 두 접선의 접점을 각각 A와 B라고 할 때, <APB> 90°을 만족한다.

[문제] <제시문1>의 집합 S에 포함된 점 P 중에서 <제시문2>를 만족하는 점의 개수를 구하고, 그

이유를 논하시오.

 

성균관대 과학인재


단진자 운동에서 진자가 한 번 왕복하는 데 걸리는 시간인 주기는 7=271 ⅛이다. 이처럼 단진자

의 주기는 진자의 길이 과 중력 가속도 9에만 영향을 받는다.

<제시문2>

뉴턴 중력 법칙에 따르면 두 물체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하는데, 이 인력을 중력이라 하고, 그 크 기 F는 두 물체의 질량의 곱에 비례하고 두 물체 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문제] 먼 미래에 지구 표면 근처에서 주기가 1초인 단진자를 가지고 외계의 둥근 행성 X를 방문

했다. 행성 X의 표면 근처에서 측정하니 지구에서 가지고 온 단진자의 주기가 1초로 지구 에서의 측정값과 같았다고 한다. 행성 X의 반지름이 지구의 2배라면, 행성 X의 평균밀도는 지구의 몇 배인지 설명하시오.

성균관대 과학인재


[ 화학 ] 구술시간 2분 <제시문 1>
기체 상태의 나트륨(Na(g))의 제1차 이온화 에너지는 500 kJ/mol이다. 기체 상태의 염소(CI(g))의 전자친화도는 350 kJ/mo이다.
<제시문 2>
Na(g) + CI(g) > NaCI(s)는 발열반응이며, 1몰당 650kJ이 발생한다.
[문제] 염화나트륨은 물에 잘녹는 염이다. Nat(g) 이온과 CI-(g) 이온은 서로 이온-이온 결합을
이루면서 고체상태의 NaCI(s)가 형성된다. 이때 수반되는 에너지가 발열반응 또는 흡열반 응인지 예측하고, 2몰의 NacI(s)를 생성할 때의 에너지양을 제시하시오.

성균관대 과학인재


[생명과학] 구술시간 2분
<제시문1>

 음식물을 먹고 나면 소장에서 포도당이 흡수되어 혈당량이 올라간다. 

혈당량이 증가하면 이자 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의 양이 늘어난다.
<제시문2> 

자기방사법은 방사성 동위 원소가 포함된 화합물을 세포에 넣고 

시간 경과에 따라 동위 원소 에서 방출되는 방사선을 추적하여 세포 안에서 물질의 이동을 알아내는 방법이다.


[문제] 위 그래프에서는 방사성 동위 원소로 표지된 메싸이오닌을 포함한 배지에서 배양한 세포에 서 시간에 따라 검출되는 방사선량을 나타내었다. A~C는 각각 분비 소낭, 골지체, 거친면 소포체 중 하나이다.
(i) 위 그래프를 참고할 때 새로 합성된 인슐린의 분비량이 최고점에 이르는 시간은 언제인가?
(ii) 이자섬의 B 세포를 포도당으로 자극하면 수 분(minutes)이내에 인슐린 분비가 빠르게 증가한
다. 어떻게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지 위 그래프를 참고하여 설명하시오.
(iii) 위 실험을 시작한 후 30분이 경과한 시각에 배지의 온도를 42°C로 올려서 세포에 스트레스를 주었다. 그 이후 D와 같은 그래프가 관찰되었다. D 곡선은 어떤 세포 소기관에서 어떤 기능 이 일어나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지 설명하시오.

성균관대 과학인재

2. 기출 문제 답변 가이드

물리학 답변 가이드

단진자의 주기 T는 다음 공식을 통해 결정된다:

성균관대 과학인재


여기서 L은 진자의 길이이고, g는 중력 가속도입니다.
주어진 문제에 따르면, 지구에서와 행성 X에서 단진자의 주기가 동일하다는 것은, 행성 X의 중력 가속도 gx가 지 구의 중력 가속도 g 
Earth와 같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성균관대 과학인재

이것은 뉴턴의 중력 법칙,
을 이용하여 두 행성의 중력을 비교할 때 중요합니다. 여기서 G는 중력 상수, M1과 M2는 두 물체의 질량이고

, r 은 두 물체 사이의 거리입니다.
중력 가속도는 중력의 크기를 해당 물체의 질량으로 나눈 값입니다. 

행성의 경우, 중력 가속도는 행성의 질량 M과 반지름 R에 의해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행성 X의 반지름이 지구의 2배라면, 행성 X의 중력 가속도 gx를 지구의 중력 가속도 gEarth 와 같게 만들기 위해 서 행성 X의 질량 Mx은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 고려해야 합니다.


지구의 평균 밀도를 ρ Earth, 행성 X의 평균 밀도를 Px라고 할 때, 행성의 질량은 그의 밀도와 부피의 곱으로 표현 할 수 있습니다. 
행성 X의 반지름이 지구의 2배이므로, 그 부피는 지구의 부피의 2의 3제곱= 8배가 됩니다. 주기가 같으려면 gx= gEarth 여야 하므로, 행성 X의 질량도 지구의 질량의 4배가 되어야 합니다(왜냐하면 F가 4배이므로, AI / F? 비 율을 유지하기 위해 M도 4배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행성 X의 밀도는 지구의 밀도의 1/2이 되어야 합니다. 행성 X의 부피가 8배 크고 질량이 4배 크기 때문에, 밀도는 지구의 1/2배입니다.
요약하면, 행성 X의 평균밀도는 지구의 1/2, 즉 0.5배입니다.

 

화학답변가이드 

먼저, 염화나트륨(NaCl)의 형성 과정에 포함된 여러 에너지 변화를 이해해야 합니다. 이 과정은 크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나트륨의 이온화 에너지(IE): 나트륨 원자가 전자를 잃어 양이온 Na⁺을 형성할 때 필요한 에너지. 제시된 바에 따르면, 이 값은 500 kJ/mol입니다.

염소의 전자친화도(EA): 염소 원자가 전자를 받아 음이온 Cl⁻을 형성할 때 방출되는 에너지. 제시된 바에 따르면, 이 값은 350 kJ/mol입니다.
NaCl의 형성 엔탈피(ΔH_f): 나트륨 이온 Na⁺과 염소 이온 Cl⁻이 결합하여 고체 상태의 NaCl을 형성할 때 방출되는 에너지. 제시된 바에 따르면, 이 값은 650 kJ/mol입니다.
염화나트륨이 형성될 때 총 에너지 변화는 이 세 가지 과정의 에너지 변화를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이 과정은 전반적으로 발열반응입니다. 그러나, 주어진 정보에 따라 2몰의 NaCl을 생성할 때의 총 에너지 변화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나트륨의 이온화 과정에서 500 kJ/mol이 소비되므로, 2몰에 대해서는 2 x 500 = 1000 kJ가 필요합니다.
염소가 전자를 얻는 과정에서 350 kJ/mol이 방출되므로, 2몰에 대해서는 2 x 350 = 700 kJ가 방출됩니다.
NaCl의 형성 과정에서는 1몰당 650 kJ가 방출되므로, 2몰에 대해서는 2 x 650 = 1300 kJ가 방출됩니다.
총 에너지 변화는 이 세 과정의 에너지를 모두 합한 값입니다:
총 에너지 변화
총 에너지 변화=−1000+700+1300=1000 kJ
따라서, 2몰의 NaCl이 형성될 때 총 1000 kJ의 에너지가 방출됩니다. 이는 전체 과정이 발열반응임을 나타냅니다.

 

3. 기출 문제 다운로드

아래 기출문제 다운받는 링크를 통해 공부해보세요. 

성균관대 기출문제 다운로드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